甲 소유 연립주택을 전세보증금 4,000만원에 임차하여 입주와 주민등록을 마쳤으나, 주민등록 전입신고 시 현관문에 표시된 대로 1층 202호라고 호수를 기재하였습니다. 그런데 이것은 지하층을 고려하여 202호로 해두었던 것이고, 연립주택의 등기부상은 1층 102호로 등기되어 있었습니다. 이 경우 저는 「주택임대차보호법」상의 대항력을 취득함에 문제가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「주택임대차보호법」 제3조제1항은 "임대차는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익일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깁니다. 이 경우전입신고를 한 때에 주민등록이 된 것으로 본다.”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
이 경우 대항력의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은 거래안전을 위하여 임차권의존재를 제3자가 명백히 인식할 수 있는 공시방법으로 마련된 것이라고 볼 것이므로,주민등록이 어떤 임대차를 공시하는 효력이 있는가의 여부는 일반 사회통념상 그 주민등록으로 당해 임대차건물에 임차인이 주소 또는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인정될 것입니다(대법원 2003. 5. 16. 선고2003다10940 판결, 2007. 2. 8. 선고 2006다70516 판결).
위 사안과 관련하여 판례는 “신축 중인 연립주택 중 1층 소재 주택의 임차인이 주민등록 이전 시 잘못된 현관문의 표시대로 1층 201호라고 전입신고를 마쳤는데, 준공후 그 주택이 공부상 1층 101호로 등재된 경우, 「주택임대차보호법」상의 대항력이 없다.”라고 하였습니다(대법원 1995. 8. 11. 선고 95다177 판결).
따라서 위의 경우 주민등록은 그 임차주택에 관한 임대차의 유효한 공시방법을 갖추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, 「주택임대차보호법」상의 대항력을 취득할 수 없을 것으로보입니다.
참고로 위의 경우와 달리 "임차인이 집합건축물대장의 작성과 소유권보존등기의 경료전에 연립주택의 1층 101호를 임차하여 현관문상의 표시대로 호수를 101호로 전입신고를 하였고, 그 후 작성된 집합건축물대장상에도 호수가 101호로 기재되었으나 등기부에는 1층 101호로 등재된 경우, 임차인의 주민등록은 임대차의 공시방법으로써 유효하다.”라고 본 사례는 있습니다(대법원 2002. 5. 10. 선고 2002다1796 판결).
'부동산에 대한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장활동, 의미와 성공적인 부동산 거래를 위한 팁 (2) | 2024.06.01 |
---|---|
강남3구 청약 시세차익 노려볼 만한 분양예정 아파트 단지들 정보 (0) | 2024.05.13 |
우선변제권을 위한 확정일자의 의미와 받는 법 (0) | 2024.03.03 |
부모와 같이 사는 세대합가(동거봉양) 1주택의 비과세 요건과 혜택 (0) | 2024.02.09 |
1세대 1주택의 구분과 비과세 요건 정리 (0) | 2023.10.05 |
댓글